송강 정철은 동해에 뛰어난 절경을 8군데 꼽았다.
통천의 총석정, 고성의 삼일포, 간성의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 평해의 월송정이다.
그 중에서도 오십천이 내려다보이는 깍아지른 절벽 위에 서있는,
삼척에서 서쪽에 있는 죽서루를 제1경으로 꼽았다.
누(樓)란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여지은 다락형식의 집을 말하고,
'죽서'란 이름은 누의 동쪽으로 죽장사라는 절과
이름난 기생 죽죽선의 집이 있어 '죽서루'라 하였다고 한다.
죽서루는 고려망의 이승휴의 시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봐서 1275년 이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건물은 1403년 부사 김효손이 중수한 것이다.
보물 제213호인데 거기에 걸맞게 입구부터 단아하게 꾸며져있었다.
죽서루 입구에는 죽서루의 역사와 건축양식,
그리고 누각 안에 걸려있는 글씨와 현판에 관한 설명을 적어놓았다.
배용준과 손예진이 주인공이고 2005년에 방영되었던 영화 '외출'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그래서 배용준과 손예진의 손바닥 부조도 기념으로 있다.
죽서루 인근 은혜식당에는 배용준이 머물렀다해서 벽과 문에 온통 배용준에 대한 낙서가 가득찼다.
거기에는 배용준의 열렬한 일본팬까지 한 몫했다.
죽서루는 조선시대때 일종의 관아시설로 활용된 누각이었고
공공시설로 접대와 향영을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다.
또한 삼척지방 양반 사대부와 삼척을 찾아오는 시인 묵객들의
정신수양을 위한 휴식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고한다.
죽서루는 남측면은 3칸으로 되어있고 북측면은 2칸으로 되어있다.
측면 칸 수의 차이가 있는 것은 자연암반의 형태에 적절하게 조화되기 위해서이고,
홀수칸인 남측면을 주출입구로 삼기 위해서이다.
또한 누각 좌우의 천연암반을 이용하여 누각에 반드시 있어야할 사다리가 없다.
힘차게 쓴 이 죽서루 글씨는 아쉽게도 작자미상이다.
누각의 마루는 우물마루이며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관동8경 중에서 다른 곳은 모두 바닷가에 위치해 있는데 유독 죽서루만 강과 절벽에 싸여있다.
그래서 제1경으로 치고있는지도 모르겠다.
누각에서 내려다보는 오십천의 물이 옥색으로 빛나는게 내가봐도 시 한 수 저절로 나올만 하다.
고려말의 학자이며 대서사시 '제왕운기'를 저술한 이승휴가 지은 시이다.
높은 하늘 고운 색채 높고 험준함을 더하는데/햇빛 가린 구름조각 용마루와 기둥에서 춤추는구나/
푸른 바위에 비스듬히 기대어 날아가는 고니 바라보고/ 붉은 난간 잡고 내려다보며 노니는 물고기 헤아려보네/
산은 들판을 빙 둘러싸 둥그런 경계를 만들었는데/이 고을은 높은 누각 때문에 매우 유명해졌구나/
문득 벼슬 버리고 노년을 편안하게 보내고 싶지만/작은 힘이나마 보태 임금 현명해지기를 바라네.
사진에 보이는 관동제일루와 죽서루란 현판은 숙종 36년(1710) 삼척부사 이성조가 쓴 글씨이다.
죽서루의 상층의 기둥이 20개인데 비해 하층의 기둥은 13개로
상층에 비해 7개나 적고 기둥 길이도 다르다.
이것은 자연암반과 자연초석(막돌)을 이용해서 건물을 세웠기 때문이고,
기둥이 세워진 자연암반과 자연초석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기둥의 높이도 각각 다르다.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고 자연에 순응하는 이러한 건축기법은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멋을 엿볼 수 있는게 아닌가싶다.
봄에 나무잎이 무성하면 훨씬 보기좋은 풍경이 펼쳐질 것 같았다.
앙상한 겨울나무 사이에도 죽서루의 모습은 늠름하다.
죽서루의 이름답게 주변은 온통 대나무였는데 오죽(烏竹)도 꽤 많았다.
죽서루 동쪽 옛 연근당 자리 가까이에는 바위문이 있는데
행초사로"용문(龍門)이라 새긴 음각글씨가 남아있다.
바위 상부에는 성혈흔적이있는데,
칠월칠석날 자정에 부녀자들이 성혈터를 찾아가서 일곱 구멍에 좁쌀을 담고 치성을 드린후
좁쌀을 치마폭에 감추어가면 아들을 낳는다고 믿는 민간신앙이 깃들어있다.
용문바위의 성혈은 직경 3~4㎝ 정도의 크기로 10개가 만들어져있다.
조선 중기의 화가인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의 그림속에도 남아있는 죽서루는
예나 지금이나 두타산의 높은 산봉우리와
푸른물의 오십천이 가파른 절벽을 휘감아도는 물빛이 맑고 깊다.
바람도 시원하고 경치도 좋아서 죽서루에 오래 머물고 싶었지만
다음 여행지를 가기위해 아쉬운 발걸음을 옮겼다.
♣위치및문의♣
강원도 삼척시 죽서루길 22(성내동길 9-3번지)
033-570-3670
♣입장료♣
무료입장이다.
♣주변여행지♣
대금굴/해신당/환선굴/추암해수욕장
♣추천맛집♣
은혜식당(033-573-7369) : 배용준이 식사를 한 곳.
♣찾아가는길♣
영동고속도로 강릉분기점-동해고속도로-7번국도-동해시-삼척시-죽서루
♣지도♣
글/사진 샤랄라
'청청수의 테마여행 > 강원도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 해신당공원 (19금) (0) | 2010.01.29 |
---|---|
19금) 삼척 해신당공원 (0) | 2010.01.29 |
정동진 썬크루즈와 조각공원 (0) | 2010.01.29 |
정동진 썬크루즈와 조각공원의 멋진 어울림 (0) | 2010.01.29 |
무지개빛 유리의성(城), 정동진 하슬라아트월드(2) (0) | 2010.01.29 |